보유기술

환경을 소중히 여기는 기업

증발·농축 시설

장치의 종류(에너지 회수방법에 의한 분류)
MVR형 증발농축장치 (Mechanical Vapor Recompression)
1EFFECT
  • 열교환기 1대, 증발기 1대로 구성.
  • Heat Pump를 이용하여 증발된 폐증기를 전량 흡입, 압축하여 재사용.
  • 폐증기의 약 90%를 회수하여 재사용.
  • 폐액의 성상에 따라 적용검토가 필요.
코벡의 자율세정기능을 구비한 MVR System 특허기술 동영상
FFE (Fallling Film Evaporation: 박막유하형)
FCE (Forced Circulation Evaporation : 강제순환형)

자율세정기능(Self Cleaning Technology) 증발농축장치란? (특허 : 제 10-2292272 호)

형식 기존 박막유하(FFE)형 MVR 시스템 자율세정(SCT)형 MVR 시스템
설비구성도
특징
  • 다관형 열교환기를 1열 수직으로 구성.
  • 폐수는 순환펌프에 의해 상부에서 분배하여 전열관에 공급.
  • 폐수는 얇은 막상으로 자연유하하며 증발
  • 전열관을 여러 개 (6~8)의 구역으로 구분 구성.
  • 1개의 구역을 상승전열관(세정순환)으로 전환운전 시 나머지 구역은 하강전열관(박막유하)으로 운전.
  • 상승과 하강전열관의 교차운전으로 스케일 제어.
장단점
  • 액면두께가 얇아 열저항이 적음
  • 자연유하로 운전되므로 스케일의 부착이 쉬움
  • 고농도, 고점도의 용액 농축에 매우 불리
  • 운전중 연속세정이 이루어지므로 스케일의 제어가 가능
  • 박막유하형과 강제순환형의 선택적 적용 가능
  • 기존 시설에 비하여 고농축 가능
  • 기존 전형적인 박막유하형(FF)에 비해 다소 고가
2EFFECT
  • 열교환기 2대, 증발기 2대로 구성된 2중효용관.
  • 2단의 폐증기를 1단에 사용하고, 1단의 폐증기를 전량 흡입, 압축하여 2단에 재사용.
  • 폐증기의 약 95%를 회수하여 재사용.
  • 폐액의 BPR에 따라 압축비가 높은 형식의 Heat Pump가 필요.